PART . Sketch
1-1. Sketch 시작.
1. Sketch 시작
(1) Sketch?
1) Modeling Application 바탕으로 추가로 운용되는 Application.
2) 특정 평면에 놓이는 2D Curve Point 모임을 칭하는 것으로 기하학적,
치수적 조건을 Curve 또는 Point 부여하여 디자인에 맞는 형상을 구현.
3) 생성된 Sketch 이용하여 연관성 있는 Feature 생성한 경우,
Sketch 수정하여 Feature 의하여 구현된 개체의 형상도 변경할 있음.
(2) Sketch 시작.
( Top Boarder Bar > Menu > Insert > Sketch … )
PART . Sketch
1-2. Sketch 시작.
(3) 스케치 생성 대화상자(Create Sketch Dialog Box)
1) Type (On Plane) : 평면형 Face Datum Plane 선택하여 스케치 기준 좌표계 설정.
1
( Top Boarder Bar > Menu > Insert > Sketch … )
1-1) Select Plane or Face : 스케치 평면을 정의하기 위한 기준 평면(Plane) 또는 (Face) 선택.
1-2) Show Principal Planes : 스케치 평면을 정의하기 위하여 절대 좌표 X, Y, Z 축을 기준으로 원점을 지나는 가상의
평면의 표시 유무 설정.
1-3) Reverse Plane Normal : 스케치 평면을 정의하기 위하여 평면(Plane) 또는 (Face) 선택하였을 표시되는
기준 좌표계에서 Z축에 해당하는 파란색 축의 방향을 반대로 반전.
1-1
1-2
1-3
1-4
1-4) Select Horizontal Reference : 스케치 평면에서 사용될 수평 (Horizontal Axis) 방향 설정.
1-5) Reverse Horizontal Direction : 스케치 평면을 정의하기 위하여 평면(Plane) 또는 (Face) 선택하였을 표시되는 기준 좌표계에서 X축에 해당하는 빨간색 축의
방향을 반대로 반전.
1-5
Select Horizontal Reference
PART . Sketch
1-3. Sketch 시작.
( Top Boarder Bar > Menu > Insert > Sketch … )
(3) 스케치 생성 대화상자(Create Sketch Dialog Box)
1-6
1-5) Specify Origin Point : 스케치 평면을 정의하기 위하여 평면(Plane) 또는 (Face) 선택하면 스케치 평면의 원점이
자동으로 추정되나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원점의 위치를 변경할 있음.
2) Type (On Path) : 곡선 또는 모서리를 선택하여 교차하는 Sketch Plane 정의.
2-1
2-2
2-3
2-1) Select Path : Sketch Plane 교차되어 놓일 곡선 또는 모서리 선택.
2-2) Plane Location : Sketch Plane 놓일 위치 정의.
Arc Length : 선택한 곡선 또는 모서리 길이를 이용하여 위치 정의.
% Arc Length : 선택한 곡선 또는 모서리 길이 비율을 이용하여 위치 정의.
Through Point : Plane 놓일 위치를 점으로 지정.
2-3) Plane Orientation : Sketch Plane 방향 정의.
2
Normal to Path
Normal to Vector
Parallel to Vector
Through Axis
Specify Axis Specify Axis Specify Axis
PART . Sketch
1-4. Sketch 시작.
Finish Sketch 이용하여 Sketch Application 종료할 있으며 Sketch Application 종료되면 스케치 생성 이용 중인 Application으로 전환됨.
2. Sketch 종료
( Top Boarder Bar > Menu > File > Finish Sketch )
3. Orient View to Sketch
(1) 기능 : 방향을 전환하여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스케치 평면(Sketch Plane) Z축과 일치시킴. (단축키 : Shift + F8)
( Top Boarder Bar > Menu > View > Orient View to Sketch )
PART . Sketch
1-5. Sketch 시작.
(1) NX1926부터 Sketch에는 정확하고 설계 의도를 반영하는데 도움이 있는 새로운 솔버(Solver) 도입되어 과거 방식 대비 일부 사용 형태가 변경됨.
4. New Sketch Legacy Sketch
대략적인 치수를 나타내는 물결 모양의 심볼을 추가.
치수에 기본적으로 “P” 수식을 생성하지 않음에 따라 외부 링크의 수를 최소화.
스케치하는 동안 새로운 솔버(Solver) 백그라운드에서 작동하여 과거 방식의 구속(Constraints) 생성이 아닌 작업 시점에서 관계(Relations) 발견하고 표시.
끌기(Drag) 의한 동적인 편집을 원하는 관계(Relations) 아닌 경우 해당 관계(Relations) 클릭하여 이완 편집.
끌기(Drag)
(2) 사용자에 따라 사용할 스케치 방식을 새로운 스케치(New Sketch) 또는 과거 스케치(Legacy Sketch) 변경할 있음.
PART . Sketch
2-1. Sketch 곡선.
1. Profile
(1) 기능 : 곡선 작업 마지막 곡선의 점을 다음 곡선의 시작 점으로 연이어지는 또는 구현.
( Top Boarder Bar > Menu > Insert > Curve > Profile )
(2) 프로파일 대화상자(Profile Dialog Box)
1
2
3
4
1) Line : 이어지는 구현
2) Arc : 이어지는 구현.
3) Coordinate Mode : 입력 상자를 이용하여 좌표 적용.
4) Parameter Mode : 입력 상자를 이용하여Length, Angle 또는 Radius, Sweep Angle 이용.
사용 1)
결과
사용 2)
입력 상자(Input Box)
결과
Y 좌표 (0) 입력 Enter
곡선 종류 변경
프로파일(Profile) 사용 종료를 위하여 ‘Esc’ 적용
프로파일(Profile) 사용 종료를 위하여 ‘Esc’ 적용
X 좌표 (0) 입력 Tap 또는 Enter
PART . Sketch
2-2. Sketch 곡선.
2. Line
(1) 기능 : 시작과 또는 시작 점과 길이, 각도를 이용하여 직선 구현.
( Top Boarder Bar > Menu > Insert > Curve > Line )
(2) 직선 대화상자(Line Dialog Box)
1) Coordinate Mode : 입력 상자를 이용하여 좌표 적용.
2) Parameter Mode : 입력 상자를 이용하여Length, Angle 적용.
1
2
입력 상자(Input Box)
Point 1
Coordinate Mode
Parameter Mode
Y 좌표 (50) 입력 Enter
X 좌표 (50) 입력 Tap 또는 Enter
사용 )
길이(70) 입력 Tap 또는 Enter
각도(80) 입력 Enter
PART . Sketch
2-3. Sketch 곡선.
3. Arc
(1) Arc : 점이나 Radius Sweep Angle 이용하여 구현.
1) Arc by 3 points : 지정한 점을 지나는 구현.
2) Arc by Center and Endpoints : 중심 점과 호의 점을 지정하여 구현.
( Top Boarder Bar > Menu > Insert > Curve > Arc )
(2) 대화상자(Arc Dialog Box)
1
2
Arc by 3 points
Arc by Center and Endpoints
또는
PART . Sketch
(1) 기능 : 중심 점과 직경 또는 점을 지나는 구현.
2-4. Sketch 곡선.
4. Circle
( Top Boarder Bar > Menu > Insert > Curve > Circle )
(2) 대화상자(Circle Dialog Box)
1
2
1) Circle by Center and Diameter : 중심 점과 직경을 입력 또는 반경 거리에 해당하는 점을 지정하여 생성.
2) Circle by 3 Points : 점을 지정하여 점을 지난 구현.
Circle by Center and Diameter
Circle by 3 Points
또는
PART . Sketch
(1) 기능 : 중심 점과 직경 또는 점을 지나는 구현.
2-5. Sketch 곡선.
5. Rectangle
( Top Boarder Bar > Menu > Insert > Curve > Rectangle )
(2) 사각형 대화상자(Rectangle Dialog Box)
1
2
By 2 points
By 3 Points
3
1) By 2 points : 대각의 점을 지정하여 직사각형 구현.
2) By 3 Points : 시작 점과 , 높이에 해당하는 점을 지정하여 직사각형 구현.
3) From Center : 중점 중점을 기준으로 폭과 높이에 해당하는 점을 지정하여 직사각형 구현.
Point 1
Point 1
Point 2
Point 2
Point 3
Point 1
Point 2
From Center
Point 3
참조
점선 보조선 : 다른 개체와의 정렬을 표시.
파선 보조선 : 수평, 수직, 직교 접함 등의 기타 개체가 포함된 추정 구속조건을 표시.
* 스케치 보조선(Sketch help lines) 제어 ( 점과 중간 , 원호 , 원호 원의 중심 ) 대한 정렬과 추정되는 구속조건을 표시.
1
2
PART . Sketch
(1) 기능 : 중심 점과 면의 개수를 설정하고, 내접 또는 외접 원의 크기를 이용하여 다각형 구현.
1) Center point : 다각형 중심 지정.
2) Sides : 다각형 변의 개수 지정.
2-6. Sketch 곡선.
6. Polygon
( Top Boarder Bar > Menu > Insert > Curve > Polygon )
(2) 다각형 대화 상자(Polygon Dialog Box)
3) Size : 다각형 크기를 설정할 있는 방법으로 내접 반경(Inscribed Radius), 외접 반경(Circumscribed Radius),
변의 길이(Side Length) 이용.
Center Point Center Point
4) Radius, Length, Rotation
: 내접 반경(Inscribed Radius), 외접 반경(Circumscribed Radius)
경우 반경(Radius), 변의 길이(Side Length) 경우 길이(Length),
그리고 다각형의 회전 각도(Rotation) 설정.
* 잠금(Lock) 체크 켜면(on) 입력 값이 고정됨.
Circumscribed Radius
Side Length
Inscribed Radius
1
2
3
4
PART . Sketch
2-7. Sketch 곡선.
7. Ellipse
( Top Boarder Bar > Menu > Insert > Curve > Ellipse )
(1) 기능 : 중심 점과 장반경(Major Radius) 단반경(Minor Radius) 이용하여 타원을 구현.
(2) 타원 대화 상자(Ellipse Dialog Box)
1) Center : 타원의 중심 지정.
2) Major Radius, Minor Radius : 장반경(Major Radius) 단반경(Minor Radius) 길이를 입력하거나 반경 방형으로
거리에 해당하는 (point) 지정.
Center Point
3) Limits : “Closed” 옵션을 적용하면 ~ 360º 닫힌 타원이 생성되고, “Closed옵션을 해지한 경우, 사용자가 타원이
구현될 범위를 각도로 설정하여 열린 타원을 구현.
4) Angle : 장반경(Major Radius) 방향과 스케치 평면의 X축과 이루는 각도를 설정할 있음.
* 길이 입력.
* 길이 값이 아닌 거리에 해당하는 위치 점을
지정할 수도 있음.
1
2
3
4
PART . Sketch
3-1. Sketch 곡선 편집.
(1) 기능 : 교차 점을 기준으로 곡선(Curve) 선택한 영역을 자르는 명령으로 교차 부분이 인지가 되지 않는 경우, 곡선이 삭제되기도 .
대상 곡선(Curve) 지정할 끌기(Drag) 형태로 여러 곡선(Curve) 지정할 있으며, 필요한 경우 고정된 경계 곡선(Boundary Curve) 이용.
1. Trim
(2) 절단 대화 상자(Trim Dialog Box)
1) Boundary Curve : 필요한 경우 추가로 사용할 있는 옵션으로 경계 곡선(Boundary Curve) 사용자가 지정할
있음.
2) Curve to Trim : 절단(Trim) 적용할 곡선 선택.
( Top Boarder Bar > Menu > Edit > Curve > Trim )
1
2
3
3) Trim to Extension : 경계 곡선(Boundary curve) 사용하는 경우에 한하여 경계 곡선(Boundary Curve) 연장하여
가상의 경계를 기준으로 Trim 적용.
Boundary Curve
Curve to Trim
Boundary Curve
Curve to Trim
PART . Sketch
3-2. Sketch 곡선 편집.
(1) 기능 : Quick Trim 사용법은 비슷하나 Quick Trim과는 반대로 교차점까지 지정한 곡선을 연장함.
2. Extend
(2) 연장 대화 상자(Quick Extend Dialog Box)
1) Boundary Curve : 필요한 경우 추가로 사용할 있는 옵션으로 경계 곡선(Boundary Curve) 사용자가 지정.
2) Curve to Extend : 연장(Extend) 적용할 곡선 선택.
3) Trim to Extension : 경계(Boundary curve) 사용하는 경우에 한하여 경계(Boundary Curve) 연장하여 가상의
경계(Boundary) 기준으로 연장(Extend) 적용.
Boundary Curve
Curve to Extend
Curve to Extend
Boundary Curve 사용
( Top Boarder Bar > Menu > Edit > Curve > Extend )
1
2
3
PART . Sketch
3-3. Sketch 곡선 편집.
(1) 기능 : 선택 개의 곡선(Curve)간에 공통 교차 지범까지 곡선(Curve) 절단(Trim) 또는 연장(Extend).
공통의 교차 지점을 기준으로 선택한 곡선(Curve) 영역에 대해서 모퉁이 구현.
3. Corner
( Top Boarder Bar > Menu > Edit > Curve > Corner )
또는
참조
과거 방식의 스케치(Legacy Sketch) 이용하는 경우에 한하여 추정 구속조건 생성(Create Inferred Constraints) 켜져 있으면, 코너 만들기(Make Corner)
교차 지점에 일치(Coincident) 구속 조건이 자동 생성.
Coincident
(2) 코너 만들기 대화상자(Make Corner Dialog Box).
1
1) Select Object : 코너 만들기에 사용할 곡선을 선택.
곡선을 선택할 상대 곡선과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코너가 생성될 쪽을 선택.
PART . Sketch
3-4. Sketch 곡선 편집.
(1) 기능 : 개나 개의 곡선(Curve) 선택하여 선택한 곡선(Curve) 접하는 (Arc) 구현.
4. Fillet
( Top Boarder Bar > Menu > Edit > Curve > Fillet )
또는
(2) 필렛 대화 상자(Fillet Dialog Box)
1) Fillet Method : 선택한 입력 곡선(Input) 절단(Trim) 유무를 설정.
2) Delete Third Curve : 개의 곡선(Curve) 선택하여 필렛(Fillet) 표현하는 경우, 번째 Curve 삭제 유무 설정.
1 2
3
On Off
번째 곡선(Curve)
번째 곡선(Curve)
번째 곡선(Curve)
3) Create Alternate Fillet : 최종 반경 입력 전에 다른 대체 필렛(Fillet)으로 전환. Page Up 또는 Page Down 키를 이용하여 옵션을 적용할 수도 있음.
PART . Sketch
3-5. Sketch 곡선 편집.
(1) 기능 : 개의 곡선(Curve) 선택하여 모따기를 구현.
5. Chamfer
(2) 모따기 대화 상자(Chamfer Dialog Box)
1) Curve to Chamfer : Chamfer 적용할 Curve 선택.
2) Trim Input Curves : Chamfer 적용하기 위하여 선택한 Curve Trim 유무 설정.
3) Chamfer : 모따기 설정 유형 선택.
4) Lock : 입력 값을 고정하여 마우스 커서(Mouse Curser) 위치 변경에 따른 입력 변경 방지.
( Top Boarder Bar > Menu > Edit > Curve > Chamfer )
1
2
3
4
PART . Sketch
4-1. Sketch 파생 곡선.
(1) 기능 : 존재하는 직선을 기준으로 파생되는 선을 생성하는 명령으로 파생되는 형태는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 평행한 직선의 가운데 놓이는 , 평행하지 않은
직선이 이루는 각을 양분하는 등이 있음.
1. Derived Lines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평행하지 않은 직선이 이루는 각을 양분하는
( Top Boarder Bar > Menu > Insert > Curve from Curves > Derived Lines )
파생선(Derived Lines) 직선(Line)에만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곡선에
해서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선을 구하기 위해서는 ‘Offset Curve 사용.
평행한 직선의 가운데 놓이는
PART . Sketch
4-2. Sketch 파생 곡선.
(1) 기능 : 중심축에 해당하는 (Line)이나 모서리(Edge) 기준으로 선택한 (Curve) (Point) 대칭된 복사물을 생성.
중심축으로 사용되는 (Line) 참조(Reference) 형태로 변경할 있고, 원본(Original) 복사본(copy) 간에 대칭 구속조건이 부여됨.
2. Mirror Curve
1) Curve to Mirror : 대칭된 복사물을 생성하기 위한 대상 곡선(Curve) 또는 (Point) 선택.
2) Centerline : 대칭을 위한 중심선(Centerline) 선택. 생성된 바디(Body) 모서리(Edge) 또는 (Axis) 선택 가능.
3) Convert Centerline to Reference : 중심선(Centerline)으로 선택한 (Line) 참조선(Reference Line)으로 변경.
(2) 대칭 곡선 대화상자(Mirror Curve Dialog Box)
1
2
1
2
3
3
활성 곡선(Active Curve)
참조 곡선(Reference Curve)
4) Create Persistent Relation : 새로운 스케치(New Sketch) 방식을 사용할 제공되는 옵션으로 대칭에 대한 조건을
영구 관계(Persistent Relation) 생성하여 대칭에 대한 조건을 계속 유지 관련 심볼
(Symbol) 화면에 표시.
과거 스케치(Legacy Sketch)
새로운 스케치(New Sketch)
( Top Boarder Bar > Menu > Insert > Curve from Curves > Mirror Curve )
4
PART . Sketch
4-3. Sketch 파생 곡선.
( Top Boarder Bar > Menu > Insert > Curve from Curves > Mirror Curve )
(2) 대칭 곡선 대화상자(Mirror Curve Dialog Box)
5
5) Show Ends
접촉 유지가 해지되어 수정 가능
구속조건(End Constraint) 더블 클릭(Double Click)하여 조건 제거 또는 추가할 있음.
새로운 스케치(New Sketch)에서도 과거 스케치(Legacy Sketch) 동일하게 ‘Show Ends옵션이 제공되나,
‘Create Persistent Relation’ 이용하는 경우에만 옵션이 활성화됨.
새로운 스케치(New Sketch)
과거 스케치(Legacy Sketch)
구속조건(End Constraint) 표시 유무 설정.
PART . Sketch
4-4. Sketch 파생 곡선.
(1) 기능 : 선택한 곡선(Curve)이나 모서리(Edge) 대해서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곡선(Curve) 생성.
3. Offset Curve
( Top Boarder Bar > Menu > Insert > Curve from Curves > Offset Curve )
(2) 옵셋 곡선 대화상자(Offset Curve Dialog Box)
1) Select Curve : 옵셋(Offset) 적용할 곡선(Curve) 또는 모서리(Edge) 선택.
2) Distance : 옵셋(Offset) 거리 설정.
3) Number of Copies : Offset 의하여 파생되는 Curve 개수 설정.
4) Cap Options : Offset 거리만큼 모서리 부위의 연장을 호로 나타낼 있음.
1
2
3
Extension Cap
Arc Cap
4
5
5) Symmetric Offset : 방향 옵셋.
6) Reverse Direction : 옵셋 방향 반전.
6
대상 곡선(curve)
옵셋(Offset) 거리
생성할 곡선
막음 옵션
PART . Sketch
4-5. Sketch 파생 곡선.
( Top Boarder Bar > Menu > Insert > Curve from Curves > Offset Curve )
(2) 옵셋 곡선 대화상자(Offset Curve Dialog Box)
7) Show Corners : 코너 핸들(Corner Handle) 표시 유무 설정.
코너 핸들(Corner Handle) 더블 클릭(Double Click)하여 코너(Corner) 막음 해지 또는 설정.
8) Show Ends : 구속조건(End Constraint) 표시 유무 설정.
구속조건(End Constraint) 더블 클릭(Double Click)하여 점의 위치가 수직으로 일치 또는 해지 설정.
새로운 스케치(New Sketch)
과거 스케치(Legacy Sketch)
7
8
9
10
11
9) Create Persistent Relations : 새로운 스케치(New Sketch) 방식을 사용할 제공되는 옵션으로 옵셋(Offset 대한
조건을 영구 관계(Persistent Relation) 생성하여 옵셋(Offset) 대한 조건을 계속 유지
관련 심볼(Symbol) 치수(Dimension) 화면에 표시.
10) Convert Input Curves to References : 옵셋을 하기 위하여 선택한 기준 곡선을 참조선으로 변경.
11) Create Dimension : 과거 스케치(Legacy Sketch) 방식에서 제공되는 옵션으로 옵셋 거리 값을 치수(Dimension) 생성.
참조 곡선(Reference Curve)
PART . Sketch
4-6. Sketch 파생 곡선.
(1) 기능 : 선택한 곡선(Curve)이나 모서리(Edge) 대해서 지정한 거리 또는 각도로 일정하게 배열되는 곡선(Curve) 생성.
4. Pattern Curve
(2) 배열 곡선 대화상자(Pattern Curve Dialog Box)
Curve to Pattern : 배열 규칙에 맞춰서 복사할 곡선(Curve), (Point) 또는 모서리(Edge) 선택.
Pattern Definition : 배열 규칙으로 선형(Linear), 원형(Circular), 일반(General) 등을 선택.
Linear
Circular
General
참조
새로운 스케치(New Sketch)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Create Persistent Relations’ 껐을 ,
과거 스케치(Legacy Sketch)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Create Inferred Constraints’ 껐을 , 배열 Layout
추가로 제공됨.
( Top Boarder Bar > Menu > Insert > Curve from Curves > Pattern Curve )
PART . Sketch
4-7. Sketch 파생 곡선.
(2) 배열 곡선 대화상자(Pattern Curve Dialog Box)
1-1
1-1) Select Linear Object : 배열 방향으로 설정할 선형 개체 선택.
1-2) Spacing : 배열 간격 설정을 위한 방법 선택.
1
1-2
Count and Pitch : 배열할 개체 수와 개체 간의 간격 설정.
Count and Span : 처음과 마지막 개체 간의 간격과 사이에 배열될 개체 설정.
Pitch and Span : 설정된 전체 간격에서 개체 간의 간격을 설정하여 배열될 개체 결정.
1-3
Pattern Constraint
1-3) Use Direction 2 : Layout Linear 경우 제공되는 항목으로 번째 배열 방향을 추가로 설정할 있음.
Direction 2
Direction 1
( Top Boarder Bar > Menu > Insert > Curve from Curves > Pattern Curve )
PART . Sketch
4-8. Sketch 파생 곡선.
(2) 배열 곡선 대화상자(Pattern Curve Dialog Box)
( Top Boarder Bar > Menu > Insert > Curve from Curves > Pattern Curve )
2-1) Rotation Point : 회전 배열의 중심 지정.
2-2) Spacing : 배열 간격 설정을 위한 방법 선택.
Rotation Point
Curve to Pattern
2
3
2-1
2-2
3-1) From Location : 배열을 위한 기준점 또는 기준 좌표계 선택.
3-2) To Location : 배열 방향 거리 설정을 위한 참조점 또는 참조용 좌표계 선택, 복수로 선택할 있음.
3-3) Lock Orientation : 복사되는 곡선의 회전 가능 유무 설정.
Curve to Pattern
From Location
To Location
Lock Orientation Off” 경우,
회전 구속이 해지되어 배열된 개체를 회전시킬 있음.
3-1
3-2
3-3
PART . Sketch
4-9. Sketch 파생 곡선.
(1) 기능 : 곡선(Curve)이나 모서리(Edge) 선택하여 현재 작업 중인 스케치 평면(Sketch Plane) 교차하는 부분에 교차점을 생성.
교차 구간이 복수인 경우, “Cycle Solutions”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에 교차점을 얻을 있음.
5. Intersection Point.
( Top Boarder Bar > Menu > Insert > Curve from Curves > Intersection Point )
(2) 교차 대화상자(Intersection Point Dialog Box)
1) Select Curve : 교차 (Intersection Point) 얻기 위한 곡선(Curve) 또는 모서리(Edge) 선택.
2) Cycle Solutions : 복수의 교차 (Intersection) 인지되는 경우 순차적으로 교차 (Intersection Point) 지정.
1
2
Target Curve
Intersection Point
참조
연결되지 않은 복수의 곡선(Curve) 선택할 없음.
참조
실제 교차가 되지 않는 곡선(Curve) 선택한 경우, 곡선(Curve) 가상으로 연장하여 교차
생성.
PART . Sketch
4-10. Sketch 파생 곡선.
( Top Boarder Bar > Menu > Insert > Recipe Curve > Intersection Curve )
(1) 기능 : (Face) 선택하여 현재 작업 중인 스케치 평면(Sketch Plane) 교차하는 부분에 교차 곡선(Intersection Curve) 생성.
6. Intersection Curve.
(2) 교차 곡선 대화상자(Intersection Curve Dialog Box)
1) Select Face : 교차 곡선(Intersection Curve) 얻기 위한 (Face) 선택.
2) Cycle Solutions : 복수의 교차 곡선(Intersection Curve) 인지되는 경우 순차적으로 교차 곡선(Intersection Curve) 지정.
Target Face
1
2
Intersection Curve
3) Associative : 교차 곡선과 선택한 사이의 부모-자식 관계를 생성.
4) Ignore Holes : 대상 (Face) 구멍이 있는 경우, 구멍이 없는 가상의 (Face) 기준으로 교차 곡선 생성.
3
4
PART . Sketch
4-11. Sketch 파생 곡선.
(1) 기능 : (Point)이나 (Curve) 또는 모서리(Edge) 선택하여 현재 작업중인 스케치 평면(Sketch Plane) 수직으로 투영하여 (Point) (Curve) 생성.
7. Project Curve.
( Top Boarder Bar > Menu > Insert > Recipe Curve > Project Curve )
(2) 투영 곡선 대화상자(Project Curve Dialog Box)
1) Select Curve : 투영시킬 곡선(Curve) 또는 모서리(Edge) 선택.
2) Select Point : Snap Point 또는 Point Dialog 이용하여 투영시킬 지정.
(Point Dialog Part Ⅲ Modeling 7. Datum Feature에서 Point 참조).
장면 도구 모음(Scene Toolbar) Snap Point
12
3) Associative : 투영을 위하여 선택한 곡선(Curve) 모서리(Edge) 또는 (Point) 대해서 투영된 곡선(Curve) 연관성 유무를 설정할 있음.
대상 곡선 또는 모서리가 변경되면 투영된 곡선도 변경됨.
대상 곡선 또는 모서리가 변경되어도 투영된 곡선은 변경되지 않음.
Target Edge
PART . Sketch
5-1. Sketch 관계.
1. Sketch Relations
(1) 기능 : 새로운 스케치(New Sketch) 환경을 이용하는 경우, 추가된 스케치 솔버(Sketch Solver) 의하여 곡선(Curve) 생성 또는 수정할 수평, 수직, 접함
기타 기하학적 관계를 자동으로 찾음.
관계(Relations) 찾기는 곡선(curve) 생성 또는 수정할 진행되기 때문에 곡선(Curve) 생성 수정이 완료되면 보여지던 관계 심볼(Relations Symbol) 화면
에서 사라지고 다시 편집을 하면 편집과 관련된 곡선(Curve) 대하여 관계(Relations) 찾기가 진행되어 관련 심볼(Relations Symbol) 화면 표시됨.
찾아진 관계(Found Relations)찾아진 관계(Found Relations)
곡선(Curve) 생성 완료
편집하기 위해 곡선(Curve) 선택
표시된 관계(Relations)
(2) 관계 만들기(Make Relations)
1) 곡선(Curve) 생성할 자동으로 찾아지는 관계(Relations) 외에도 편집을 찾아질 있도록 사용자가 새로운 관계를 적용할 있음.
적용한 관계(Relations) 의하여 곡선(Curve) 위치 크기를 변경되고 이후 편집할 솔버(Solver) 의하여 찾아지도록 함.
장면 도구 모음(Scene Toolbar)
Motion Curve
Stationary Curve
2) 관계(Relations) 편집할 필요한 시점에만 발견되는 찾은 관계(Found Relations) 스케치에 저장되는 영구적인 관계(Persistent relations) 가지 유형이 있음.
장면 도구 모음(Scene Toolbar)
Motion Curve
영구적인 관계(Persistent relations)
켜기(On)
PART . Sketch
5-2. Sketch 관계.
(3) 관계 만들기 명령 대화상자(Make Commands Dialog Box)
장면 도구 모음(Scene Toolbar)
( Top Boarder Bar > Menu > Edit > Curve > Make … )
1) Select Motion Curve or point : 관계(Relation) 의하여 이동할 곡선 또는 선택.
2) Select Stationary Curve or Point : 관계(Relation) 의하여 동작 곡선(Motion Curve) 이동을 위한 기준 곡선 또는 선택.
1
2
Motion Curve
Stationary Curve
Motion Curve
Stationary Curve
3
3) Automatic Selection Progression : 동작 곡선(Motion Curve) 선택 고정 곡선(Stationary Curve) 선택하기 위하여 대화
상자(Dialog Box)에서 고정 곡선(Stationary Curve) 항목을 선택하지 않아도 항목이
동으로 변경.
동작 곡선(Motion Curve) 다수 선택해야 되는 경우에는 해지가 필요함.
4
4) Select Fixed Curve or point : 필요한 경우 고정 곡선(Stationary Curve) 또는 고정 (Stationary Point) 추가할 있음.
Motion Curve
Stationary Point
Fixed Point
Fixed Point
5) Restore Initial Solution : 추가했던 고정된 곡선(Fixed Curve), 고정된 (Fixed point) 초기화.
5
PART . Sketch
5-3. Sketch 관계.
(4) 관계 만들기 명령 유형(Make Commands Type)
( Top Boarder Bar > Menu > Edit > Curve > Make … )
1) 일치되도록 만들기(Make Coincident) : 선택한 점이 일치, 선택한 점이 선택한 곡선의 연장선상에 일치, 선택한 개의 원이나 호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동작
곡선(Motion Curve) 이동.
장면 도구 모음(Scene Toolbar)
Motion Point
Stationary Point
Motion Point
Stationary Curve
Motion Curve
Stationary Curve
2) 동일 직선상으로 만들기(Make Collinear)
선택한 (Line) 동일 선상에 놓이도록 동작 곡선(Motion Curve) 이동.
Motion Curve
Stationary Curve
3) 수평으로 만들기(Make Horizontal)
선택한 직선(Line) 스케치 평면의 X축에 평행하게 정렬 또는 고정
(Stationary Point) 추가한 경우 동일한 수평 선상으로 정렬.
Motion Point
Stationary Point
4) 수직으로 만들기(Make Vertical)
선택한 직선(Line) 스케치 평면의 Y축에 평행하게 정렬 또는 고정
(Stationary Point) 추가한 경우 동일한 선상으로 정렬.
Motion Point
Stationary Point
Motion Curve
Motion Curve
5) 접하게 만들기(Make Tangent)
곡선(Curve) 접하도록 동작 곡선(Motion Curve) 이동.
Motion Curve
Stationary Curve
PART . Sketch
5-4. Sketch 관계.
(4) 관계 만들기 명령 유형(Make Commands Type)
( Top Boarder Bar > Menu > Edit > Curve > Make … )
장면 도구 모음(Scene Toolbar)
6) 평행하게 만들기(Make Parallel)
선택한 (Line) 평행하도록 동작 곡선(Motion Curve) 이동.
Motion Curve
Stationary Curve
9) 대칭으로 만들기(Make Vertical)
동작 곡선(Motion Curve) 대칭 선을 기준으로 고정 곡선(Stationary Curve)
대칭이 되도록 이동.
Motion Curve
10) 중간 점에 정렬되도록 만들기(Make Tangent)
선택한 (Point) 선택한 곡선(Curve) 이등분하는 가상의 수직 선상에 정렬
시킴
Motion Point
Stationary Curve
Motion Curve
Stationary Curve
7) 수직으로 만들기(Make Perpendicular)
선택한 (Line) 수직이 되도록 동작 곡선(Motion Curve) 이동.
8) 동일하게 만들기(Make Equal)
선택한 개의 원이나 호의 반경이 같게 또는 직선의 길이가 같게 동작 곡선
(Motion Curve) 변경.
Stationary Curve
Motion Curve
Motion Curve
Stationary Curve
Stationary Curve
Symmetry Line
PART . Sketch
5-5. Sketch 관계.
( Top Boarder Bar > Menu > Edit > Curve > Create Persistent Relations )
2. Create Persistent Relations
(1) 기능 : 편집할 발견되는 관계(Relations) 아닌 스케치와 함께 저장되어 영구적으로 사용되는 관계(Relations) 생성.
Motion Curve
Stationary Curve
3. Display Persistent Relations
(1) 기능 : 생성된 영구적인 관계(Persistent Relations) 나타내는 심볼(Symbol) 표시 유무 설정.
( Top Boarder Bar > Menu > Tools > Display Persistent Relations )
참조
편집할 찾아진 관계(Found Relations) 영구적인 관계(Persistent Relations) 동시
보여지는데, 영구적인 관계(Persistent Relation) 조금 어두운 색상으로 표시됨.
영구적인 관계(Persistent Relations)
찾아진 관계(Found Relations)
참조
흔들기 제스처를 사용하여 이어져 있는 곡선을 분리할 있음.
곡선(Curve)
(End Point)
PART . Sketch
6-1. Sketch 치수.
1. Sketch 치수 생성
(1) 스케치에서 사용되는 치수(Dimension)에는 선형(Linear), 각도(Angular), 반경(Radial)
등의 치수가 있고, 치수(Dimension) 의하여 스케치 곡선(Curve) 크기 위치가
지정되며 편집 상태의 치수(Dimension) 값을 입력할 있는 입력 상자(Input Box)
끌기(Drag) 의해 동적으로 값을 변경할 있는 핸들(Handle) 제공됨.
(2) 치수(Dimension) 생성하기.
1) 새로운 스케치(New Sketch) 방식.
하나 또는 개의 곡선을 선택.
선택한 곡선에 대해 이용 가능한 치수가 표시됨.
사용할 치수를 클릭 또는 치수가 놓일 위치로 끌기(Drag).
입력 상자(Input Box) 또는 핸들(Handle) 끌기(Drag)
치수 설정.
2) 과거 스케치(Legacy Sketch) 방식.
치수 생성 명령 적용.
(Rapid Dimension, Linear Dimension … )
치수를 부여할 개체 선택.
치수 값이 놓일 위치 지정.
과거 스케치(Legacy Sketch) 방식으로 환경을 변경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치수(Dimension) 명령을 사용하는 경우,
치수 위치 지정 치수 값을 수정할 있는 입력 상자
(Input Box) 제공됨.
8. Legacy Sketch 수치적 구속 참조.
PART . Sketch
6-2. Sketch 치수.
2. Sketch 치수 편집
(1) 생성이 완료된 치수(Dimension) 클릭하면 ‘Edit Value’ 적용되어 치수 편집 상태로 변경되어 처음 치수를 생성할 때처럼 입력 상자(Input Box) 핸들(Handle)
이용하여 치수 값을 변경할 있음.
또는
(2) 치수(Dimension) 편집 상태에서는 찾아진 관계(Relations) 필요한 경우 선택하여 이완(Relax) 상태로 변경 치수(Dimension) 수정할 수도 있음.
이완(Relax) 상태
PART . Sketch
7-1. Legacy Sketch 기하학적 구속.
1. Geometric Constraints
( Top Boarder Bar > Menu > Insert > Sketch Constraint > Geometric Constraints )
(1) 기능 : 선택한 지오메트리(Geometry) 기하학적 구속 조건(평행, 수직, 일치…) 부여하여 조건에 맞도록 스케치 곡선(Sketch Curve) 위치 크기를 변경.
(2) 적용 방법.
1) 방법 1.
(Geometric Constraints) 적용.
구속조건 유형을 선택.
구속할 개체 선택.
2) 방법 2.
구속할 개체 선택.
제공되는 “Shortcut Toolbar에서 구속조건 유형 선택.
PART . Sketch
7-2. Legacy Sketch 기하학적 구속.
(3) 지오메트리 구속조건 대화 상자Geometric Constraints Dialog Box).
1) Constraint : 선택한 곡선에 부여할 기하학적 조건 선택.
Coincident : 선택한 (끝점, 중심점…) 동일 위치로 정렬.
Point on Curve : 선택한 (끝점, 중심점…) 선택한 위에 정렬.
Tangent : 선택한 선이 접하도록 정렬.
Parallel : 선택한 선을 평행하게 정렬.
1
( Top Boarder Bar > Menu > Insert > Sketch Constraint > Geometric Constraints )
PART . Sketch
7-3. Legacy Sketch 기하학적 구속.
(3) 지오메트리 구속조건 대화 상자Geometric Constraints Dialog Box).
Perpendicular : 선택한 선을 수직으로 정렬.
Horizontal : 선택한 직선을 Sketch Plane X축에 평행하도록 정렬.
Vertical : 선택한 직선을 Sketch Plane Y축에 평행하도록 정렬.
Horizontal Alignment : 선택한 (끝점, 중심점…) 동일한 수평 선에 있도록 정렬.
( Top Boarder Bar > Menu > Insert > Sketch Constraint > Geometric Constraints )
PART . Sketch
7-4. Legacy Sketch 기하학적 구속.
(3) 지오메트리 구속조건 대화 상자Geometric Constraints Dialog Box).
Vertical Alignment : 선택한 (끝점, 중심점…) 동일한 수직 선에 있도록 정렬.
Midpoint : 선택한 (끝점, 중심점…) 선택한 직선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 선에 정렬.
Collinear : 선택한 직선을 동일 선상으로 정렬.
Concentric : 선택한 개의 또는 호의 중심이 동일하도록 정렬.
( Top Boarder Bar > Menu > Insert > Sketch Constraint > Geometric Constraints )
PART . Sketch
7-5. Legacy Sketch 기하학적 구속.
(3) 지오메트리 구속조건 대화 상자Geometric Constraints Dialog Box).
Equal Length : 선택한 직선의 길이를 동일하게 설정.
Equal Radius : 선택한 개의 또는 호의 반경이 동일하게 설정.
Fixed : 선택한 고정 또는 직선을 선택한 경우 수직 수평 이동 고정으로 동일 선산으로 연장 또는 이동만 가능
2) Select Object : 기하학적 조건을 부여할 개체 선택.
3) Automatic Selection Progression : 번째 개체 선택 번째 개체 선택 항목 클릭 없이 자동으로 항목 변경이 됨.
4) Settings : Constraint 항목에 보여질 Icon 설정.
2
3
4
( Top Boarder Bar > Menu > Insert > Sketch Constraint > Geometric Constraints )
PART . Sketch
7-6. Legacy Sketch 기하학적 구속.
2. Sketch Constraints Brower
( Top Boarder Bar > Menu > Tools > Sketch Constraints > Sketch Constraints … )
(1) 기능 : 현재 활성화된 스케치(Sketch) 사용된 모든 기하학적 수치적 조건을 목록으로 확인할 있음.
선택한 개체에 한정하여 부여된 기하학적 수치적 조건을 목록에서 확인할 있고 선택한 항목 단위로 기하학적 수치적 조건을 삭제할 있음.
(2) 스케치 구속조건 탐색기 대화상자(Sketch Constraints Brower Dialog Box)
1) Scope : 하위 “Brower” 표시할 기하학적 수치적 구속 조건 목록 표시 범위 선택.
All in Active Sketch : 현재 활성화된 스케치에 포함된 모든 기하학적, 수치적 조건 표시.
Single Object : 선택한 개의 개체와 관련된 기하학적, 수치적 조건 표시.
Multiple Objects : 선택한 복수의 개체와 관련된 기하학적, 수치적 조건 표시.
2) Select Object : 기하학적, 수치적 조건을 확인할 개체 확인, 기하학적, 수치적 조건을 선택하여 관련 개체를
확인할 수도 있음.
3) Top-level Node Objects : Brower 항목에서 상위로 표시할 기준을 곡선 또는 구속 조건으로 설정할 있음.
1
2
3
PART . Sketch
7-7. Legacy Sketch 기하학적 구속.
3. Display Sketch Constraints
( Top Boarder Bar > Menu > Tools > Sketch Constraints > Display Sketch … )
(1) 기능 : 현재 활성화된 스케치(Sketch) 사용된 기하학적 구속 조건에 대한 화면상의 심볼을 일괄로 숨기거나 보이게 함.
On
Off
참조
스케치 환경 설정.
Top Boarder Bar > Menu > Preferences > Sketch
화면 배율에 맞춰 구속 조건 심볼 표시 유무 자동 제어.
구속 조건 심볼 크기 제어.
PART . Sketch
7-8. Legacy Sketch 기하학적 구속.
4. Auto Constrain
( Top Boarder Bar > Menu > Tools > Sketch Constraints > Auto Constrain )
(1) 기능 : 선택한 스케치 곡선이나 점에 대해서 지정한 구속 조건 유형을 자동으로 부여.
지정한 구속 조건 유형이 부여되기 위해서는 선택한 스케치 곡선 또는 사이에 설정된 거리 각도 공차 범위 안에 있어야 함.
(2) 자동 구속 대화상자(Auto Constrain Dialog Box).
1) Curves to Constrain : 구속 조건을 부여할 스케치 곡선 또는 선택.
2) Constraints to Apply : 선택한 스케치 곡선 또는 점에 부여할 구속 조건 유형을 선택.
3) Tolerance : 구속 조건을 부여하기 위한 허용 가능한 범위(거리, 각도) 설정.
1
1
3
실제 거리는 2mm, 허용 거리 공차는 1mm
일치 구속(Coincident) 적용되지 않음.
실제 거리는 2mm, 허용 거리 공차는 3mm
일치 구속(Coincident) 적용되지 않음.
PART . Sketch
8-1. Legacy Sketch 수치적 구속.
1. Rapid Dimension
(1) 기능 : 선택하는 개체 커서 위치를 기준으로 치수 유형(선형, 반경, 각도…) 추정하여 치수 구속조건 생성.
( Top Boarder Bar > Menu > Insert > Sketch Constraint > Dimension > Rapid… )
선형(Linear)
반경(Radial)
각도(Angular)
(2) 급속 치수 대화상자(Rapid Dimension Dialog Box)
1) References : 치수를 부여할 개체 선택.
2) Origin : 치수 값이 놓일 위치 지정, 위치 지정 제공되는 입력 상자(Input Box) 이용하여 치수 변경 가능.
치수를 부여할 개체 선택
치수 값이 놓일 위치 지정 치수 수정
3) Place Automatically : 개체를 선택하면 치수 값이 자동으로 배치됨.
1
2
3
1
2
PART . Sketch
8-2. Legacy Sketch 수치적 구속.
(2) 급속 치수 대화상자(Rapid Dimension Dialog Box)
4) Method : 추정(Inferred) 외에 구체적인 치수 타입을 설정하여 치수를 부여할 수도 있음.
5) Reference : Parameter 없는 확인용 치수로 변경할 있음.
Cylindrical
Vertical Point-to-Point
Perpendicular
Horizontal
Angular
Radial Diametral
6) Settings : 소수점 자리 , 치수 간격, 화살표 크기…등 양식 설정.
7) Enable Dimension Scene Dialogs : 스크린 대화상자 사용 유무 설정.
* 스크린 대화상자 사용법은 Part Ⅳ. Drafting, 5-1 Rapid Dimension 참조.
( Top Boarder Bar > Menu > Insert > Sketch Constraint > Dimension > Rapid… )
4
5
활성 치수인 경우 과잉 구속이 .
6
7
PART . Sketch
8-3. Legacy Sketch 수치적 구속.
2. Linear Dimension
(1) 기능 : 선택하는 개체 커서 위치를 기준으로 선형 치수 유형(수평, 수직, 평행, 직교 … ) 추정하여 치수 구속조건 생성.
( Top Boarder Bar > Menu > Insert > Sketch Constraint > Dimension > Linear… )
Vertical Point-to-Point
Perpendicular
Horizontal
* 급속 치수(Rapid Dimension)에서 선형(Linear) 치수 모음에 해당됨.
* 추정(Inferred) 이용하는 경우, 마우스 커서 위치에 따라서 수평, 평행, 수직 치수로 변경됨.
참조
치수 레이블(Dimension Label) 설정.
Expression Value
(2) 선형 치수 대화상자(Linear Dimension Dialog Box)
PART . Sketch
8-4. Legacy Sketch 수치적 구속.
3. Radial Dimension
(1) 기능 : 선택하는 개체 커서 위치를 기준으로 변경 치수 유형(수평, 수직, 평행, 직교 … ) 추정하여 치수 구속조건 생성.
( Top Boarder Bar > Menu > Insert > Sketch Constraint > Dimension > Radial… )
* 급속 치수(Rapid Dimension)에서 변경(Radial) 치수 모음에 해당됨.
* 호나 원의 중심에서 이어지는 지시선 표시 유무는 ‘Enable Dimension Scene Dialogs’ 적용하여 스크린 대화상자
(On-screen Dialog Box)에서 설정할 있음.
“Enable Dimension Scene Dialogs” 적용하고 마우스 커서의 움직임을 잠시 멈추면 스크린 대화상자
(On-screen Dialog Box) 화면 표시됨.
(2) 반경 치수 대화상자(Radial Dimension Dialog Box)
PART . Sketch
8-5. Legacy Sketch 수치적 구속.
4. Angular Dimension
(1) 기능 : 선택한 개의 직선(Line) 또는 (Axis)이나 평면(Plane) 이루는 각도 치수 생성.
( Top Boarder Bar > Menu > Insert > Sketch Constraint > Dimension > Angular )
* 급속 치수(Rapid Dimension)에서 각도(Angular) 치수와 동일함.
* ‘Alternate Angle’ 이용하여 , 외각 변경을 있음.
(2) 반경 치수 대화상자(Radial Dimension Dialog Box)
‘Select Dimension to inherit’ 이용하여 선택한 치수(Dimension) 동일한 설정(Settings) 생성할 치수에 적용.
PART . Sketch
8-6. Legacy Sketch 수치적 구속.
( Top Boarder Bar > Menu > Insert > Sketch Constraint > Dimension > Perimeter… )
5. Perimeter Dimension
(1) 기능 : 선택한 원호의 길이에 대한 치수 구속 생성.
(3) 둘레 치수 수정 삭제 : Top Boarder Bar > Menu > Edit > Sketch Parameters 이용.
(2) 둘레 치수 대화상자(Perimeter Dimension Dialog Box)
1
1) Curves : 둘레 치수를 적용할 선이나 원호 선택.
2) Dimension : 선택한 선이나 원호의 둘레 길이를 설정.
2
* 타원(Ellipse), 원뿔(conic), 스플라인(Spline) 선택할 없음.
* 부여된 둘레 치수는 그래픽 윈도우에 표시되지 않음.
1
1) Select Dimension : 편집하거나 제거하려는 구동 치수를 그래픽 윈도우에서 직접
선택할 있으나 둘레 치수는 그래픽 윈도우에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제공되는 구동 치수 목록에서 선택.
2) Delete : 선택한 구동 치수 제거.
3) Current Expression : 선택한 구동 치수 값이 표시.
값을 입력 또는 하단 슬라이더를 이용하여 값을 변경.
2
PART . Sketch
8-7. Legacy Sketch 수치적 구속.
6. Continuous Auto Dimensioning
(1) 기능 : 생성되는 곡선이 완전 구속 상태가 되도록 치수가 자동 부여됨.
On / Off 형태로 명령을 적용하며, 사용 중인 스케치에 포함된 모든 곡선에 대해서 치수가 부여됨.
스케치 곡선의 자유도를 제거하지만 값을 영구적으로 잠기는 것은 아니며 자동 치수와 충돌하는 구속조건을 추가하면 자동 치수는 자동으로 제거됨.
( Top Boarder Bar > Menu > Tools > Sketch Constraints > Continuous Auto … )
Off
On
(2) 구속 조건과 치수 추정(Inferred Constraints and Dimensions)
추정되는 구속 조건(Constraints) 유형 선택과 추정되는 연속 치수 규칙 순서를 설정.
선택한 목록의 순서를 아래로 변경할 있음.
상위에서 하위 순서로 규칙이 적용됨.
PART . Sketch
8-8. Legacy Sketch 수치적 구속.
7. Display Sketch Auto Dimensions
(1) 기능 : 생성된 자동 치수를 일괄로 숨기거나 보이게 있음.
( Top Boarder Bar > Menu > Tools > Sketch Constraints > Display Sketch Auto … )
참조
- Edit Parameter 이용하여 자동 구동 치수를 동적으로 수정할 있음.
- 자동 치수에서 구동 치수로 변경된 번째 치수의 치수 변화만큼 다른
자동 치수에 동일한 배율이 적용됨.
Off
On
PART . Sketch
8-9. Legacy Sketch 수치적 구속.
8. Convert To/From Reference
(1) 기능 : 선택한 스케치 곡선 치수를 활성에서 참조 또는 참조에서 활성으로 변환.
( Top Boarder Bar > Menu > Tools > Sketch Constraints > Convert To/From … )
(2) 참조에서/로 변화 대화 상자(Convert To/From Reference Dialog Box).
1) Object to Convert : 활성 또는 참조로 변환할 곡선(Curve) 또는 치수(Dimension) 선택.
2) Convert To : 변환 조건 선택.
Reference Curve or Dimension : 선택한 곡선(Curve) 또는 치수(Dimension) 참조로 변경.
Active Curve or Driving Dimension : 선택한 곡선(Curve) 또는 치수(Dimension) 활성으로 변경.
참조(Reference)
활성(Active)
- 참조(Reference) 변환된 스케치 곡선(Sketch Curve) 모델링에서 명령을
부여할 선택 대상에서 제외됨.
) Extrude Section 선택.
1
1
PART . Sketch
9-1. Sketch 2D 동기식 기술.
(1) 기능 : 선택한 스케치 곡선 모음을 이동 또는 회전시킴.
인접한 곡선 수치적 조건은 이동 또는 회전 조건에 맞춰 변경되고, 유지될 없는 기하학적 조건은 자동으로 삭제됨.
1. Move Curve
(2) 곡선 이동 대화상자(Move Curve Dialog Box)
1) Select Curve : 이동 또는 회전시킬 스케치 곡선 선택.
2) Use Curve Finder : 선택한 곡선에 상대적인 특정 기하학적 조건에 맞는 다른 곡선을 검색하여 선택할 있게
Distance
Angle
( Top Boarder Bar > Menu > Edit > Curve > Move Curve )
3) Motion : 선택한 스케치 곡선을 이동 또는 회전시킬 방법 선택. (자세한 내용은 8. Move Object 참조).
1
2
3
( Home Tap > Edit Group > More Gallery > Edit Gallery > Move Curve (Legacy Sketch) )
PART . Sketch
9-2. Sketch 2D 동기식 기술.
(2) 곡선 이동 대화상자(Move Curve Dialog Box)
4) Size : 곡선을 이동할 , 곡선의 크기 유지 유무를 설정.
5) Keep Tangent : 곡선의 위치가 변경될 , 접하는 필렛의 중심 위치 고정 유무 설정.
6) Keep Orthogonal : 곡선을 이동할 , 인접 측면의 직교 유지 유무 설정.
4
5
6
( Top Boarder Bar > Menu > Edit > Curve > Move Curve )
( Home Tap > Edit Group > More Gallery > Edit Gallery > Move Curve (Legacy Sketch) )
PART . Sketch
9-3. Sketch 2D 동기식 기술.
(1) 기능 : 선택한 스케치 곡선에 대해 각각의 곡선을 기준으로 입력한 거리만큼 옵셋하여 곡선을 이동.
인접한 곡선 수치적 조건은 옵셋 조건에 맞춰 변경되고, 유지될 없는 기하학적 조건은 자동으로 삭제됨.
2. Offset Move Curve
(2) 곡선 이동 옵셋 대화상자(Offset Move Curve Dialog Box)
( Top Boarder Bar > Menu > Edit > Curve > Offset Move Curve )
1) Select Curve : 옵셋을 적용할 스케치 곡선 선택. 닿아 있지 않은 복수의 곡선을 선택할 수도 있음.
2) Distance : 옵셋 거리 설정.
3) Reverse Direction : 옵셋 방향을 반대로 변경.
닿아 있지 않은 곡선에 대해서는 개별 핸들을 더블 클릭하여 방향을 변경할 있음.
1
2
3
( Home Tap > Edit Group > More Gallery > Edit Gallery > Offset Move (Legacy Sketch) )
PART . Sketch
9-4. Sketch 2D 동기식 기술.
(1) 기능 : 스케치 곡선 선택한 원이나 호에 대해서 입력한 직경 또는 반경으로 크기를 변경.
인접한 곡선 수치적 조건은 옵셋 조건에 맞춰 변경되고, 유지될 없는 기하학적 조건은 자동으로 삭제됨.
3. Resize Curve
(2) 곡선 크기 조정 대화상자(Resize Curve Dialog Box)
( Top Boarder Bar > Menu > Edit > Curve > Resize Curve )
1) Select Curve : 크기를 변경할 원이나 선택.
2) Resize Solution : 원이나 호의 크기를 조정하는 방법 지정.
From Center : 원이나 호의 중심을 동일하게 유지하고 직경 변경.
As Fillet : 인접한 곡선과의 접함을 유지하면서 원이나 호의 반경 변경.
2
1
( Home Tap > Edit Group > More Gallery > Edit Gallery > Resize Curve (Legacy Sketch) )
PART . Sketch
9-5. Sketch 2D 동기식 기술.
(1) 기능 : 선택한 스케치 곡선 모음을 삭제함.
삭제된 곡선에 의하여 생성된 간격은 인접한 스케치 곡선의 연장으로 보정시킬 있음.
4. Delete Curve
( Top Boarder Bar > Menu > Edit > Curve > Delete Curve )
(2) 곡선 삭제 대화상자(Delete Curve Dialog Box)
1) Select Curve : 삭제할 스케치 곡선 선택.
2) Heal : 인접한 곡선의 연장으로 삭제된 곡선 자리에 생성된 간격 보정 유무 설정.
1
2
( Home Tap > Edit Group > More Gallery > Edit Gallery > Delete Curve (Legacy Sketch) )
PART . Sketch
9-6. Sketch 2D 동기식 기술.
(1) 기능 : 선택한 스케치 곡선의 크기를 배율을 또는 선택한 치수의 치수 변화율에 맞춰 일괄로 변경.
5. Scale Curve.
( Top Boarder Bar > Menu > Edit > Curve > Scale Curve )
(2) 곡선 배율 조정 대화상자(Scale Curve Dialog Box)
1) Select Curve : 크기를 변경할 스케치 곡선 선택.
2) Method : 곡선의 배율을 조정할 방법 선택.
Dynamic : 화면상에 제공되는 배율 핸들 이용 또는 배율 계수나 인지되는 거리 입력.
Dimension : 생성되어 있는 구동 치수를 이용하여 변경한 치수 변화율 만큼 배율 설정.
Motion Point
Scale Point
Scale Point
1
2
( Home Tap > Edit Group > More Gallery > Edit Gallery > Scale Curve (Legacy Sketch) )
PART . Sketch
9-7. Sketch 2D 동기식 기술.
(1) 기능 : 생성되어 있는 대칭 스케치 모따기의 옵셋 거리를 수정.
6. Resize Chamfer Curve
( Top Boarder Bar > Menu > Edit > Curve > Resize Chamfer Curve )
(2) 모따기 곡선 크기 조정 대화 상자(Resize Chamfer Curve Dialog Box)
1) Select Curve : 대칭 모따기 곡선 선택. 비대칭 모따기 곡선은 선택할 없음.
2) Distance : 새롭게 정의할 모따기 곡선의 옵셋 거리 설정.
- 대칭 모따기 곡선은 복수로 선택할 있으며 동일한 옵셋 거리가 적용됨.
1
2
( Home Tap > Edit Group > More Gallery > Edit Gallery > … Chamfer … (Legacy Sketch) )